29일 대전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전국 정부 행정망이 마비됐다. 해당 사고로 약 647개의 정부 시스템이 긴급히 중단됐으며, 서비스 정상화에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전망이다.
대부분의 공공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생활에도 큰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우정사업본부의 온라인 금융 및 택배 조회 시스템이 마비돼 추석 연휴를 앞두고 송금과 택배 이용에 차질이 발생했다. 공항에서는 모바일 신분증 대신 실물 신분증 제출이 요구됐고, 구청의 무인 민원 기기도 모두 정지 상태다.
정부는 피해 발생 3일째인 일요일 오전 기준 전체 네트워크 장비의 절반 이상을 복구했으며, 767대의 핵심 보안장비 중 763대가 정상화됐다. 직접 피해를 입지 않은 551개 시스템은 통신·보안이 안정되는 대로 단계적으로 재가동할 계획이다. 그러나 직접 손상된 96개 시스템의 복구에는 약 2주가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당국은 화재로 파손된 리튬이온 배터리 384개를 현장에서 제거해 안전조치 후 정밀 분석에 들어갔다.
이 사고는 8년 이상 사용된 노후 UPS 배터리의 교체작업 중 발생했다. 정부합동조사단은 사고 당시 배터리가 지하로 옮겨지던 중 폭발한 것으로 파악하고, 불완전한 예비시스템과 지난 2023년 유사 장애 재발 방지 미조치 등에 대해 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긴급 회의에서 “예견된 사고였으나 대비가 없었다”고 지적하며, 주요 행정망의 이중운영 등 구조 개선을 지시했다.
이번 행정서비스 장애는 추석 연휴 직전이라는 점에서 국민 불편을 더욱 키웠다는 평가다. 정부는 복구와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선과 인프라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